W3 Total Cache 사용법에 대한 기본 이해
W3 Total Cache 플러그인을 설치한 후 활성화시켜보면 워드프레스 관리자모드에 Performance라는 메뉴가 형성되어 있습니다. 다양한 캐시 설정 메뉴가 존재하고 가장 처음으로 맞닥뜨려야할 메뉴가 바로 ‘General Settings’ 입니다.
다른 플러그인과 다르게 W3 Total Cache는 캐시를 켜고 쓸 수 있는 ‘General Settings’라는 메뉴를 별도로 달아두었고 W3 Total Cache를 설치했다면 가장 먼저 이동해야할 메뉴이기도 합니다.
<img class="alignnone size-full wp-image-23820" src="https://idom.kr:443/data/editor/1902/3232235521_75R43jiB_8119831b4b9bdd1f4e1116adea1976ff7910ebe3.png" alt="" width="900" height="791" srcset="https://idom.kr:443/data/editor/1902/3232235521_75R43jiB_8119831b4b9bdd1f4e1116adea1976ff7910ebe3.png 900w, https://static.icon.town/icondata/2018/03/20180323_052224-700x615.png 700w" sizes="(max-width: 900px) 100vw, 900px"/>
Page Cache: 페이지 캐시 Minify: CSS, JS 파일 최소화 Opcode: PHP 관련 캐시 Database Cache: 데이터베이스 관련 캐시 Object Cache: 메모리 관련 캐시(워드프레스 내장) Browser Cache: 웹브라우저 캐시 CDN: 네트워크 분산(Contents Delivery Network)
아주 간단하게 캐시를 켜고 끌 수 있는 메뉴입니다.
무료 사용자라면 설정 값은 기본값으로 둔채 캐시만 켜고 끌 수 있도록 하고 일반적으로 CDN을 제외한 모두를 체크하여 사용하는 편이지만 Page Cache는 HTML에 캐시가 적용되기 때문에 상황에 따라 체크를 해제하기도 합니다.
Page Cache의 ‘Page Cache Method’는 캐시 방법에 대한 메뉴로 무료 사용자에게는 기본값(Basic)과 향상된 캐시(Enhanced)를 제공합니다. 일반적으로 ‘Enhanced’로 설정하기를 권장하지만 해당 옵션은 서버의 리소스 사용이 과도할 수 있기 때문에 공유 서버를 사용할 경우 Basic을 선택하는 편이 좋고 서버가 ‘Enhanced’와 호환되지 않는 경우에도 ‘Basic’을 선택해야 합니다.
Object Cache의 경우 속도가 오히려 저하된다는 이슈도 있어서 속도를 비교하며 사용하시기 바랍니다.
CDN 관련 내용은 아래에 설명하도록 하겠습니다.
W3 Total Cache 플러그인의 Page Cache는 말 그대로 페이지 즉, HTML을 캐시 하는 항목입니다. 사용하기 위해서는 General Settings에서 Page Cache를 체크하시기 바랍니다.
<img class="alignnone size-full wp-image-23823" src="https://idom.kr:443/data/editor/1902/3232235521_cKTYwJAH_a1756924e71eff182126b1bccc8c56bc92e406df.png" alt="" width="900" height="827" srcset="https://idom.kr:443/data/editor/1902/3232235521_cKTYwJAH_a1756924e71eff182126b1bccc8c56bc92e406df.png 900w, https://static.icon.town/icondata/2018/03/20180323_062754-700x643.png 700w" sizes="(max-width: 900px) 100vw, 900px"/>
Page Cache의 ‘Page Cache Method’는 캐시 방법에 대한 메뉴로 무료 사용자에게는 기본값(Basic)과 향상된 캐시(Enhanced)를 제공합니다. 일반적으로 ‘Enhanced’로 설정하기를 권장하지만 해당 옵션은 서버의 리소스 사용이 과도할 수 있기 때문에 공유 서버를 사용할 경우 ‘Basic’을 선택하는 편이 좋고 서버가 ‘Enhanced’와 호환되지 않는 경우에도 ‘Basic’을 선택해야 합니다.
추가적으로 고유 주소를 기본 설정으로 두어도 ‘Enhanced’를 사용할 수 없습니다.
W3 Total Cache의 Minify 기능은 정적 파일 즉 HTML, CSS, JS 파일의 압축을 담당하는 기능입니다. 사이트를 운영함에 있어서 Minify 기능은 Page Cache와 다르게 필히 사용해야 할 기능으로 꼽힙니다. 평상시 사이트 운영 시에는 켜두고 HTML, CSS, JS 파일의 변경 작업이 있을 경우에만 잠시 꺼두시면 됩니다.
사실 W3 Total Cache의 Minify 기능을 종료하고 HTTP의 요청 수를 줄이는 Autoptimize 플러그인을 따로 사용하는 것을 권장합니다. 그러나 상황에 따라서는 W3 Total Cache의 Minify 기능을 사용하는 것이 Autoptimize 플러그인보다 속도 면에서 큰 이점이 될 수 있습니다.
Minify 기능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Performance – General Settings’에서 Minify를 체크해주시면 됩니다.